javascript
-
[JS] 고차함수와 커링에 대해 알아보자고요..카테고리 없음 2024. 1. 23. 17:11
[JS] 고차함수와 커링에 대해 알아보자고요.. 커링?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공부했다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법한 단어이다. 이 커링을 이해하기 위해서 반 필수적으로 등장하는 개념이 바로 고차함수이다. 고차함수부터 알아보도록 하자. 고차함수 고차함수는 생각보다 간단한 개념이다. 다른 함수를 안자로 받거나, 반환값으로 함수를 건내는 함수를 뜻한다. 함수를 인자로 받는다고? 그런 함수가 있나?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굉장히 많은 함수가 고차함수이다. 몇 가지 예를 통해 알아보자. 1. 함수를 인자로 받는 함수 const arr = [1,2,3].map((v) => v * 3); map은 배열의 각 요소에 대해 인자로 받은 함수를 호출하여 그 결과로 새로운 배열을 반환한다. 여기서 map의 인자로 들어가는 함수를..
-
[JS] string 타입은 원시타입인데 어떻게 메서드 호출을 지원할까? 원시타입과 참조타입카테고리 없음 2024. 1. 22. 20:39
[JS] string 타입은 어떻게 메서드 호출을 지원할까? 원시타입과 참조타입 javascript는 dynamic type 언어이기 때문에 변수를 선언할 때에 변수의 타입을 명시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그렇다고 타입이 존재하지 않는 건 아니며, 변수의 타입은 할당된 값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된다. 일단 javascript에 어떤 타입들이 존재하는지 부터 알아보자. Type 자 아래 변수, a의 타입은 무엇일까? const a; a에는 아무 값도 할당되어있지 않다. 이런 변수 타입을 undefined라고 한다. 변수가 선언은 되어있지만 아무런 값을 갖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그렇다면 이건 어떨까? const a = null; a에 null이라는 값이 할당되어있다. 이런 변수 타입을 null이라고 한다. ..
-
[JS] 함수 표현식과 함수 선언식은 무슨 차이가 있을까??카테고리 없음 2024. 1. 11. 20:21
[JS] 함수 표현식과 함수 선언식은 무슨 차이가 있을까?? 우리가 JS에서 함수를 선언할 때에는 보통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한다. 바로 함수 표현식과 함수 선언식이다. 함수 표현식과 함수 선언식은 뭘까? 그리고 둘은 뭐가 다를까? 오늘은 이 내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함수 선언식 먼저 함수 선언식은 무엇일까? 함수 선언식은 아래와 같이 함수를 선언하는 방법이다. 맞다. 일반적인 함수 선언 방식이다. function plusNumber (a,b) { return a + b; } plusNumber(1,2); // 3 함수 표현식 함수 표현식도 함수 선언식과 크게 다르지 않다. 함수 표현식은 아래와 같이 변수에 이름이 없는 함수를 할당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왜 이름이 없는 익명 함수를 변수에 담아서 ..
-
[TS] 왜 TypeScript인가?카테고리 없음 2023. 5. 6. 12:19
왜 TypeScript인가? JavaScript JavaScript는 웹 개발에 주로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웹 개발에서 JavaScript는 근육과 같은 역할을 한다. JavaScript가 없는 어플리케이션은 우리가 원하는 퍼포먼스를 낼 수 없다. 침대에 누워 움직이지 못하는 식물인간과 같다. JavaScript는 어플리케이션을 보다 동적으로 만들어준다. client 자체에서 논리적 작업을 하고 server 측과 통신을 가능케한다. JavaScript의 장점 학습이 쉽다. JavaScript는 프로그래밍을 처음 배우는 사람도 쉽게 배울 수 있다. 별도의 타입 지정도 필요 없으며 단순한 구조이다. 사용이 편리한 내장 메소드가 많다. map, filter, splice, parseInt, slice..